제1절 인격장애의 성격과 진단기준

5. 인격장애자를 어떻게 다룰것인가
제1절 인격장애의 성격과 진단기준
제2절 특이한 경향을 보이는 인격장애자의 상담ㆍ지도
제3절 연극적.감정적.변덕스러운 경향인 인격장애자의 상담ㆍ지도
제4절 불안해하는 경향인 인격장애자의 상담.지도
제5절 기타 인격장애자의 상담.지도

제1절 인격장애의 성격과 진단기준

1. 인격장애의 유형분류

미국정신의학회(american psychialric assoctilion)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제3판 개정증보 판: DSM-II-R(1988)에서 인격장애의 유형을 크게ㆍBㆍC등3개 군(#)으로 분류한 바 있다. A군에는 편집 ㆍ망상적 인격장애, 정신분열성 인격장애, 정신분열형 인격장애 등3개 유형을, B군에는 반사회적 인격장애, 경계선적 인격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자기애적 인격장 애 등 4개 유형을, C군에는 회피적 인격장애, 의존적 인격장애, 강박적 인격장애, 수동-공격 적 인격장애 등 4개 유형을 각각 포함 시켜서 분류한 바 있다(APA, SM-ll-R, 1988: 337~358)

그러나 6년 후(1994)에 동학회(미국정신의학회)에서 편찬한’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 DSM-IV’에서는 인격장애의 유형을 A.B.C군(해)으로 분류한 먼저 것(DSM-Il-R)과 같으나C 군에 포함시켰던 수동-공격적 인격장애(passive-aggressive personaliy disorder)을 빼내어 우울성 인격장애(depressive persorally disorder)와 함께 기타군으로 묶은 점이 다르다.

2. 인격장애자의 진단기준

인격장애자에 대한 일반적 진단기준

(1)개인이 속한 집단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난 행동양상을 보이되 다음의 영역 가운데 2개 (혹은 2 이상) 항목에 해당될 경우 인격장애자로 진단하기 된다.

  • 인지영역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건을 지각하고 해석하는 방식에서 자기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난 행동을 한다.
  • 정동영역면: 정서반응의 범위와 양상 및 강도, 불안정과 적절성 면에서 자기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크게 벗어난 반응을 한다
  • 대인관계 영역면: 대인관계의 기능면에서 볼 때 지나치게 미숙하고 부적절하게 처 신함으로써 집단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크게 벗어나는 사람으로 취급 받는다
  • 충동 조절면: 감정이나 욕구를 시간과 장소에 따라, 대상과 분위기에 따라 조절하지 못하고 즉흥적ㆍ충동적으로 발산함으로써 미숙하고 부적절한 경우가 많다

(2)고정된 행동양식 때문에 융통성이 없고 개인생활과 사회생활 전반에 걸쳐 유통성이 없다

(3)고정된 행동양식이 사회생활의 영역(사회적’ 직업적 등)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기능장애 나 문제를 초래한다

(4)청소년기 또는 성인기 초기에 행동양식에 문제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그 후 변하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다

(5) 고정된 행동양식을 다른 정신장애의 증상이나 결과로 설명할 수 없다.

(6) 고정된 행동양식이 약물남용이나 약물치료의 후유증 또는 두부외상 등 의학적 상태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성격이란 생각하고, 느끼며, 행동하고, 주변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주어진 환경에 대처 해 나가는 일관적인 패턴’을 말한다. 즉, 같은 상황과 행동에서 특정 개인이 가지는 비교적 독특하고 지속적인 사고, 감정, 행동의 양식'(Morris, 1986: 579)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기초 적인 자질로 하여 각자는 다양하고 상이한 환경에 적응키 위해 정상적인 사람은 자신의 행 동을 잘 조절하는데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우리 주변에서 많이 목격된다. 병원에 강제로 입 원시켜야 할 정도는 못되는 사람도 있고, 법규에 저촉될 만큼 악화된 것도 아니며, 저능 으로 진단될 만큼 비정상도 아닌 사람이 눈에 띄기도 한다

그러나 사회에 그대로 방치될 수 있을 만큼 이들은 안정되어 있지도 못하지만, 그렇다고 정신병원에 입원 .격리되어야 할 만큼 악화되는 일도 없고, 여러 번 교도소 출입을 했어도 자신의 병적 행동과 성격이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는 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너무 과장되거나 엄격하여 심한 고통과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정도로 융통성이 없고 부적응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나타내는 자를 인격장애자로 규정한 Morris(1986) 는 이들 인격장애자들은 무해( 홈)하지만 괴이한 행동을 하는 사람으로부터 냉혈적인 살인 자의 범위까지 다양하다고 했다.

한편, 이들 인격장애는 흔히 청년 초기에 나타나서 성인기 동안 지속된다고 말한 Aukinson 등은 “부적응 행동(maladaptive behavior)이 지속화된 유형 ) (Atkinson 외, 1983: 479)을 인격장애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의 두 잔해를 통해서 시사 받게 되는 것은 부적융적인 사고방식과 행동으로 사회적인 문제를 끊임없이 야기하는 사람들이 인격장애자라는 것이다. 그들은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또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미숙하고 부최당한 방법으로 하기 때문에 주목을 받게 된다. 이들은 불안정하고 불건강한 가정에서 태어나 각 봉제집단(가정, 학교 교우관계. 직장 등)에서 사 람들의 속을 썩이고 그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채 사회의 낙오자가 되기 마련이다.

이 같은 미치지도 않고 바보도 아닌 이런 인격장애지를 Prichard는 ‘도덕적 정신병(mora insanity)’ 이라 명명했고, Koch는 ‘정신병적 열등(psychopalhlo nlerior)으로 소개했다. 이에 반해, Emi Kraeelim은 정신병질자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점에서는 Koch와 같으나 주된 증상별로 구분 하여 ‘흥분형, 충동형, 이기형, 사기형, 반사회형, 도전형'(한동세, 1974: 213)으로 명명하였다. Charles G. Momris는 그의 저서(An Introduilion to P3ychology)에서 “융통성 없고 부적응적인 사 고 및 행동방식, 기괴하고 괴이한 행동특징 등이 고통과 갈등을 일으키는 장애”가 인격장애 라고 규정한 다음 분열형 인격장애(schizoid personality disorder), 망상형 인격장애(paranoid personalily disorder), 자애적 인격장애(narcisistic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등으로 구분했다.

다음으로, 인격장애자를 ‘특질면에 있어서 정신병적 증후(psycholic symptom)와 신경증적 증상 (buralc s/mptom과는 다른 행동상의 부적응 형 태(maladiaive pallers)’로 정의한 Davison과 Neale은 그 유형 분류에서 편집ㆍ망상적 인격(paranoid personalty), 순환적 인격(cycloihymic personality), 분열 적 인격(schizoid persoraiy, 폭발적 인격(explosive persorality, 강박적 인격(obsessive-compulsive personality), 히스테리 인격(hystleric persorality), 무기력 인격(asthenic personality), 수동 -공격적 인격(passive-aggresive personality), 부적 인격(inadequale personiality), 그리고 반사회적 인격(antisocial personality) 등 10개 유 형을 제시하고 있다(Davison & Neale 1978: 222~225).

Hilgard와 Akinson 부부는 인격장애를 정서장애(aieclive personalily disorder)와 불안장애(arviety dsorde), 그리고 정신분열중(schizoplvrena)과 차이가 나는 점을 지적하면서 인격장애의 대표적 케이스로 반사회적 인격과 정신병적 인격(psychopathic personality)을 들고 있다. 이 수반되는 우울증, 조율중 등의 정서장애나 공포증, 강박관념 및 강박 행동증 등의 정서장 부적응행동이 수반되는 우울증, 조울증 등의 정서장애나ㅇ공포증,강박관념  및 강박 행동증 등의 정서장애와는 달리 인격장애자는 보통 혼란갑이나 불안감을 느끼지 않으며, 자기의 행동을 고칠교 해 생각도 없다. 분만 아니라 정신분열증 환자와는 달리 현실과의 접촉을 상실하지도 않고 행동의 뚜렷한 해체(와해:disorganizalion)도 보이지 않는 것이 이들 성격자라고 규정한다.

끝으로 인간의 성격구조는 “습관적 태도, 가치관 그리고 인간관계에 대한 반웅으로써의 산물이며, 그 구조의 기초는 물론 어릴 때 형성된 후 오랜 기간 확대된다”고 말한 Zimbardo는 “성격장애를 분류한다는 것은 쉽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개인의 독특한 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스테레오타입적 스타일 등을 보고 분류한다”는 것이다. 그는 성격장애자의 분류를 부적 성격, 폭발적 성격, 수동적 성격, 강박 성격, 반사회적 성격 등으로 구분하였다(Zimbardo, 1979:568~569)

요컨대 행동이 지나치게 수동적(overly passive)이고, 정상인과는 다르게 부적절(inadequale)하며 미숙(immalure)해서 반사회적이거나 비사회적인 사람을 인격장애자로 정의하게 된다.

[ 출처: 최신 상담심리학/김흥규 저/양서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