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장 성격을 구성하는 동기와 정서
1. 인간의 행동을 유발하는 내면적 동기의 속성을 이해한다.
2. 인간의 기본적 욕구에 대한 다양한 주장을 제시할 수 있다.
3 동기의 개인차가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4.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와 그 분류방식을 이해한다.
5. 정서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심리적 요인들을 제시할 수 있다.
1. 성격과 동기
인간은 욕망하는 존재다. 인간은 항상 무언가를 원하고 추구한다.
그런데 사람마다 충족하고자 하는 욕망이 각기 다를 뿐만 아니라 추구하는 목표도 다르다.
어떤 사람은 많은 돈을 벌 기 위해서 가정생활과 친구관계마저 희생하며 사업에 맹렬하게 전념한다.
어떤 사람은 화목한 가정생활과 개인적인 여가생활을 즐기기 위해서 소득은 적더라도 자유시간이 많은 직업을 선택한다.
이성과의 낭만적 사랑을 끊임없이 추구하며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 반면, 세속적인 삶을 포기하고 경건한 종교생활에 전념하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개인이 어떤 욕망과 목표를 추구 하느냐에 따라 일상생활의 모습뿐만 아니라 인생 전체가 달라질 수 있다.
개인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추구하는 주된 동기, 즉 욕구, 가치, 목표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어비스는 인간은 근본 적으로 무엇을 욕망하는 존재인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또는 가장 보편적인 욕망은 무엇인가?
인간의 욕망은 삶의 상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가?다양한 욕망에는 어떤 위제구조가 있는가?
사람들이 추구하는 욕망에는 어던 개인차가 있는가? 욕망은 어떤 심리적 기제를 통해서 조절되는가?
이러한 물음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개인의 성격과 인생에 대한이 해가 좀 더 심화될 수 있다.
1) 동기란 무엇인가
욕망은 인간을 움직이게 만드는 원동력일 뿐만 아니라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운전대의 역할을 하는 심리적인 요소다.
국어사전(민중서립 편집국, 2005)에 따르면 욕망(#뽀)은 누리고자 탐합. 또는 그 마음. 부족을 느껴 이를 체우려고 바라는 마음”으로 정의되고 있다.
욕( 은 ‘하고자 하다. 바라다. 탐내다. 좋아하다’ 라는 의미를 지니고, 망(보) 역시 ‘바라다. 기대하 다. 그리워하다’ 라는 뜻을 담고 있다.
욕망이란 무언가를 좋아하고 바라면서 어떤 행위를 하 고자 하는 내면적인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욕망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흔히 사용하는 단어지만 학술적인 용어는 아니다.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행동을 추진하는 심리적 요인을 지칭하기 위해서 동기(motives)라는 용어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학자와 맥락에 따라서 본능, 욕망, 추동, 욕구, 가치. 목표, 관심사와 같은 다양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학자에 따라 선호하는 용어들이 다를 뿐 만 아니라 이러한 용어들 간의 구분도 모호하다.
일반적으로 심리학에서는 동기와 욕구라는 용어를 가장 널리 사용하고 있다.
어떤 학자들은 욕구와 동기를 엄밀하게 구분하여 사용하는 반면, 이 두 용어를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는 학자들도 있다.
심리학자들은 개인이 특정한 행동을 하는 심리적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동기에 관심을 지닌다.
우리는 매일 다양한 행동을 하며 살아간다. 어떤 순간에 특정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양한 행동 중에서 특정한 행동을 선택하게 되는 원 인은 무엇인가?
심리학자들은 개인으로 하여금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추진하는 내면적인 동력, 즉 동기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인간의 동기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지녔던 대표적인 심리학 자는 Hienry Mumay(1893~19%)다.
뉴욕에서 태어난 Mumay)는 역사학과 생물학을 전공했으며 의사로 활동하다가 심리학으로 전향하여 정신분석학에 심취했다.
특히 그는 자신이 경험한 개인적 갈등과 관련하여 인간의 동기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하버드 대학교의 심리클리닉에 재직하면서 1935년에 Henry Murray Chuistian Moan과
함께 개인의 동기를 평가하는 투사적 검사인 주제풍각검사(TAT)를 개발했다.
1938년에는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성격의 탐색 217 (Explorations in Peronalil), 을 발간했다.
그는 인간을 움직이게 하는 내면적인 동력을 욕구 동기, 압력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다.
(1)욕구
Muray(1938)는 인간의 행동과 성격을 이해하려면 욕구를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그에 따르면 욕구(ned)란 인간의 뇌 또는 마음속에 존재하는 추진력으로서 ‘현재의 불만스러운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지각, 사고, 의지, 행위 등을 어떤 특정한 방향으로 조직 하는 힘” 이라고 보았다.
즉, 욕구는 만족하지 못하는 내면적인 상태로서 편안함과 충족감을 느끼기에는 무언가가 부족한 결핍상태를 의미한다.
결핍상태는 불쾌하거나 고통스럽게 느껴지기 때문에 이를 해소할 수 있는 행동을 촉발하게 된다.
Muray(1938)에 따르면, 욕구는 사람들로 하여금 환경에 대해서 어떤 것을 추구하게 하며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게하는 내면적인 힘이다.
욕구는 지향성을 지니며 행동의 방향에 영향을 미친다.
즉, 욕구는 한 시점에서 선택 가능 한 다양한 행동 중에서 특정한 것을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욕구는 어떤 특정한 것에 대 한 갈망이다. 예컨대, 배고품은 먹을 것을 찾게 만들고, 갈등은 물을 찾게 만들며,
성욕은 성적 인 자극을 찾게 만든다. 욕구는 접근과 회피라는 두 가지 측면을 지닌다.
욕구는 어떤 대상에 대해서 접근을 하거나 회피를 하려는 지향성 중 하나다.
욕구는 대상을 향해서 접근할 것인지 아니면 그로부터 회피 할 것인지의 여부를 명확히 해 준다.
애정 욕구는 사람에게 접근하게 만들지만, 대인 공포는 사람을 회피하게 만든다
또한 욕구는 행동의 강도에 영향을 미친다. 욕구가 강렬할수록 특정한 행동을 하려는 강도가 커진다.
여러 가지 장애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떤 행동을 힘들여 계속하는 것은 그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이다.
욕구의 강도는 어떤 행동을 먼저 하고 어떤 행동을 다음으로 미루어야 하는지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데 영향을 미친다.
욕구가 강렬할수록 그에 관한 행동 을더 빨리 하게 된다(Carver Scheier, 2004).
(2)동기
욕구가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출되기까지는 상당히 복잡한 심리적 과정을 거친다.
동기 (motive)는 욕구와 행동 사이를 매개하는 심리적 상태다.
즉, 동기는 내재해 있는 욕구가 특정한 행동에 한 단계 더 가깝게 다가가 구체화된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M Cleland(1984)에 따르면, 동기는 추구하는 목표에 관한 구체적인 생각들과 그에 대한 열중이나 집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갈중은 무언가 목을 속일 수 있는 것임 추구하는 막연한 내면적 상태라면,
동기는 ‘시원한물 윤상상하교 그것을 찾기 위해 열중하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욕구가 구체적인 목표를 추구하 는동기로 진전되어 특정한 행동 으로 발현되는 심리적 과정을 동기화(moltivation)라고 한다.
동기는 추구하는 것을 좀 더 구체적으로 의식한 상태로서 특정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내면 적 상태를 의미한다.
동기는 크게 세가지 기능을 한다(Ford, 1992). 첫째, 동기는 목표지향적 행동은 유발한다.
목표의 달성을 위해서 특정한 행동을 하도록 구체적인 방향을 결정한다.
둘째, 동기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추진력, 주 에너지를 제공한다.
좋은 학점을 받 기 위해 밤새도록 공부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친구의 유혹을 뿌리치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동기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동기는 목표지향적 행동을 촉발하여 꾸준히 지속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목표가 달성되면 그러한 행동을 종결하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3)압력
견물생심( 소4)이라는 말이 있듯이, 맛있는 음식을 보면 먹 고 싶은 마음이 생겨난다.
압력(pres)은 무언가를 얻고자 하거나 피하고자 하는 동기를 만들어 내는 외부적 조건을 말한다.
즉, 외부적인 유혹을 의미한다. 맛있어 보이는 음식을 보게 되면 먹고 싶은 동기가 생기며
욕구 감금상태에서는 자유를 얻고자 하는 내면적 결핍 동기가 강해진다.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게 되는 이유는
그러한 행동을 추구하는 내면적인 동기가 있기 때문 동기화 과정 행동, 이러한 동기는 무언가가 결립 압력 된
막연한 불만족 상태를 뜻하는 욕 외부적 조건 구와 더불어 환경적인압력에 의해서
[그림 7-1] 욕구, 압력, 동기 및 행동의 관계 영향을 받는다.